티스토리 뷰
목차
번거롭게 보건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보건증을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신청 후 출력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을 원하시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해 보세요.
▼ ▼ ▼ ▼보건증 인터넷 발급 사이트 바로가기 ▼ ▼ ▼ ▼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인터넷 홈페이지의 홈화면입니다. 빨간색 네모 박스로 표시한 증명 문서 발급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왼편에 발급이 가능한 제증명 목록이 뜹니다.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을 클릭해 주세요.
보건증 발급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해 주세요.
간편인증 로그인을 해주세요. 카카오톡, KB국민은행, 페이코, 통신사 패스, 네이버, 하나은행, 토스 등으로 간편인증을 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증 발급을 위한 검사를 받으셨다면 발급 가능한 보건증 목록이 조회됩니다. 발급 신청 아래에 있는 발급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증명 문서 발급 신청 팝업에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표시 선택 및 용도를 입력한 후 발급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신청 서식이 PDF 파일로 다운됩니다. 해당 문서의 비밀번호는 신청인의 생년월일 6자리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조회되는 발급 가능 문서가 0건 입니다.
보건기관에서 보건증 검사를 받았으나 조회되는 발급 가능 문서가 0건인 경우에는 아래 4가지를 확인해 주세요.
- 보건기관에서 증명서 판정 진행 중인 경우: 해당 보건기관으로 판정결과 예정일을 문의
- 보건기관에서 이용자 정보가 잘못입력된 경우: 보건기관에서 입력한 개인정보(이름, 주민번호 등) 확인
- 증명 문서 종류를 혼동한 경우: 증명서 종류를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로 선택했는지 확인
- 2009년 이전 내역인 경우: 2009년 이전 보건증 발급은 보건기관 방문 발급만 가능합니다.
발급한 보건증 파일의 비밀번호는 무엇인가요?
발급 받은 분의 생년월일 6자리입니다.
예를 들어, 생년월일이 2024년 4월 21일인 분의 경우 240421이 비밀번호입니다.
증명서 원본 확인 방법은 무엇인가요?
e보건소 홈페이지>민원서비스>증명문서발급>문서원본확인에서 가능합니다.
'판정 결과가 정상이 아닙니다. 해당 보건소에 문의하시길 바랍니다.'라고 나옵니다.
보건증 판정 상태와 결과는 진료받은 보건기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해당 보건기관으로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보건증에 나온 주소를 바꾸고 싶은데 어떻게 바꿔야 하나요?
보건증에 나온 주소는 보건소에서 입력된 정보입니다. 주소 변경을 원하시면 방문했던 보건소로 요청하여 수정하시길 바랍니다.
인터넷으로 보건증 재발급도 가능하나요?
무료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단, 유효기간 검사일로부터 1년까지만 보건증 조회 및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여기까지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발급 받으실 때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